4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군 생활이 내게 남긴 것들, 기준이 생긴다는 것의 의미

군 생활을 끝낸 지 시간이 꽤 흘렀지만, 그 안에서 배운 것들은 여전히 제 삶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가장 선명하게 자리 잡은 건 ‘기준이 생겼다’는 점입니다. 기준이 없던 삶에서, 기준이 만들어진 삶으로 입대 전의 저는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움직이는 사람이었습니다. 정해진 시간에 무언가를 한다기보다는 기분에 따라, 상황에 따라 행동하는 일이 많았죠. 하지만 군 복무 중 하루하루 정해진 루틴을 따라 살고, 작업 전 점검, 보고, 정리 과정을 반복하다 보니 어떤 일이든 ‘이건 먼저 확인해야 해’, ‘지금은 멈추고 다시 봐야 해’ 같은 나만의 기준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습니다. 작은 습관이 기준을 만든다 포반에서 훈련을 하다 보면 작은 실수 하나가 전체 흐름에 영향을 주곤 했습니다. 그 실수를 줄이기 위해 저는 사전에 체크리스트를 만들고 작업이 끝난 후 항상 두 번씩 점검하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이 습관은 전역 후에도 이어졌습니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 할 일을 정리하고 업무 중에도 반복적으로 검토하는 루틴.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정한 기준으로 움직이는 힘이었습니다. 기준이 있다는 건 곧 자신감이다 예전에는 일이 꼬였을 때 왜 그런지 알 수 없어 불안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 상황에서 실수가 생겨도 ‘내가 어느 지점에서 기준을 놓쳤는지’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기준이 생긴다는 건 내가 무조건 잘한다는 게 아니라, 실수를 복기하고 회복할 수 있는 구조가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그건 결국 일에 대한 자신감을 만들어주고, 조직 안에서도 신뢰를 쌓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군대는 단순한 기억이 아니라, 시스템이다 저는 군 생활을 ‘기억’으로만 남겨두지 않았습니다. 그 안에서 얻은 루틴과 기준을 지금도 활용하고 있고, 그 덕분에 어떤 일을 하든 중심을 잃지 않고 버틸 수 있습니다. 군대는 저에게 있어서 단지 과거의 경...

혼자보다 함께였기에 버틸 수 있었다, 군대에서 배운 협업의 기술

군 복무 중 가장 크게 느낀 건 ‘어떤 상황에서도 혼자서는 버틸 수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특히 포반 생활은 철저히 협업을 전제로 움직이는 구조였기 때문에 혼자만 잘한다고 해결되는 건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처음엔 경쟁, 나중엔 협동 처음 입대한 뒤엔 누가 더 빨리 움직이느냐, 누가 더 눈치 빠르냐가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서로 돋보이려 하고, 실수를 덜 하려 애쓰는 모습들이 경쟁처럼 느껴졌던 시기도 있었죠.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진짜 중요한 건 전체 흐름을 살리는 조율 능력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누군가가 늦으면 모두가 지적을 받고, 한 명이 실수하면 조 전체가 다시 반복 훈련을 받아야 했으니까요. 협업의 기본은 배려였다 155mm 견인포를 다룰 땐 역할이 명확히 나뉘어 있지만, 결국 모든 과정은 연결되어 움직였습니다. 장비 하나를 들 때도 누군가의 동선이 늦어지면 전체 움직임이 어긋나는 구조였기 때문에 서로의 움직임을 ‘기다려주는 힘’이 필요했습니다. 이 기다림과 배려는 말로 강요된 게 아니라 몸으로 익힌 감각이었습니다. 눈빛이나 발걸음, 장비 소리만으로도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조율하는 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갈등보다 더 중요한 건 존중 군대 안에서도 갈등은 피할 수 없습니다. 생활 습관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고, 말투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협업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는 꼭 필요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 중 의견이 엇갈렸을 때 자기 주장을 세우기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을 먼저 기준 삼는 태도를 배웠습니다. 전역 후, 협업은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되다 전역 후 직장이나 모임에서 협업할 때 저는 군대에서 배운 태도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로의 속도를 맞춰가고, 역할을 분명히 나누되 책임은 공유하는 방식. 특히 말하지 않아도 파악하려는 노력, 그건 군 생활 중 자연스럽게 체득된 능력이...

군대에서 배운 매뉴얼의 힘, 반복이 만든 안정감

군 생활에서 가장 먼저 적응해야 했던 건 ‘매뉴얼’이었습니다. 정해진 절차, 정해진 용어, 정해진 동작. 모든 것이 이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규칙 속에서 정확히 수행되어야 했습니다. 왜 이렇게까지 정해져 있어야 할까? 처음엔 의문이 들었습니다. ‘청소하는 순서까지 왜 정해져 있을까?’ ‘도구를 정리할 때 이 각도로 둬야 하는 이유는 뭘까?’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매뉴얼이 실수를 줄이고, 예측 가능한 상황을 만들어준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특히 포반에서 장비를 다룰 때, 작은 실수 하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행동이 매뉴얼에 따라 움직여야 했습니다. 반복이 만든 무의식의 안정감 매일 같은 시간에 점호, 같은 방식의 정비, 같은 절차의 보고. 이런 반복이 처음엔 지루하게 느껴졌지만, 점점 머리가 아닌 몸이 먼저 반응하기 시작했습니다. 정신없는 상황에서도 손이 먼저 도구를 찾고, 작업을 마친 뒤에는 자동으로 점검 순서를 떠올리게 되었죠. 이런 반복된 루틴은 위기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게 해줬고, 무의식의 행동 속에 안정감을 심어주었습니다. 매뉴얼이 나를 책임지는 기준이 되다 포반 생활 중 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 리스트를 꼼꼼히 따르던 날, 선임이 말했습니다. “나중에 너도 후임 가르치게 되면 이 기준이 너를 지켜줄 거야.” 그때 느꼈습니다. 매뉴얼은 나를 얽매는 규칙이 아니라, 내가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기준이라는 걸. 이 기준 덕분에 불필요한 오해나 갈등을 줄일 수 있었고, 나를 신뢰해주는 분위기도 만들어졌습니다. 전역 후, 매뉴얼은 내 루틴이 되었다 전역 후에도 저는 일상의 매뉴얼을 만드는 습관이 남아 있습니다. 업무를 시작하기 전, 오늘 처리할 일 세 가지를 적고 각 단계별 순서를 정해두는 일. 서류를 보낼 때 점검 항목을 만들어두는 일. 이런 사소한 루틴은 실수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내가 스스로 정한 기준으로 움직인다는 자신감을...